주요활동 더 나은 내일을 기대할 수 있도록 환경위해성예방협회가 함께합니다.
▷ 유해화학물질 노출분야 환경보건센터로 서울아산병원 지정 ▷ 가습기살균제로 인한 건강피해 체계적으로 조사·연구 피해자에 대한 지속적인 건강 모니터링, 인과관계 조사·연구 |
환경부(장관 윤성규)는 유해화학물질 노출 분야 환경보건센터로 지정된 서울아산병원 환경보건센터(센터장 홍수종)가 12일 개소한다고 밝혔다.
이번에 개소하는 유해화학물질 노출 분야 환경보건센터는 국정과제인 ‘환경성질환 예방?관리 체계 구축’에 기여하고 가습기살균제 등 유해화학물질 노출과 건강영향의 인과관계를 체계적으로 조사와 연구를 한다.
또한 가습기살균제 피해자와 가족 등을 대상으로 장기적인 건강 모니터링, 정신건강 상담 및 치료 등을 수행하게 된다.
특히 현재 진단이나 판단기준이 마련되지 않은 가습기살균제에 의한 폐 이외 장기(간, 신장, 심장 등)의 영향에 대해 체계적인 조사 및 연구를 실시할 계획이다.
윤성규 환경부 장관은 12일 오후 2시에 서울아산병원에 환경보건센터 개소에 맞춰 지정서를 교부하고 유해화학물질 노출에 의한 건강영향에 대하여 다양한 조사·연구와 가습기살균제 피해자에게 질 높은 환경보건 서비스를 제공해 줄 것을 당부할 예정이다.
환경보건센터로 지정된 서울아산병원은 지난 2011년 4월 7명의 원인미상의 중증 폐질환자들을 발견하여 질병관리본부에서 역학조사를 실시할 수 있도록 조치한 바 있다.
아울러 환자 진료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가습기살균제 피해자에 대한 건강영향조사, 개별 피해자에 대한 진단 및 판정업무 등을 수행하게 된다.
한편, 환경부는 환경성질환과 환경요인 간의 상관성 조사·연구, 환경성질환의 예방·관리를 위해 2007년부터 질환별로 환경보건센터를 지정해 운영 중이다.
2015년 현재 알레르기질환, 소아발달장애, 소아암, 중금속 노출 등 분야별로 전국 14개 병원·대학 등을 지정해 운영 중이며, 각 센터는 병원·대학교 등의 전문 인력과 장비를 활용해 매년 3억 5,000만 원 규모의 국비와 자체 부담금으로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.
※ 전국 14개 환경보건센터 지정현황(현대아산병원 제외) 붙임자료 참조
<붙임> 1. 환경보건센터 지정·운영 현황.
2. 질의응답.
3. 전문 용어 설명. 끝.
<출처> 환경부 2015.05.12
열기 닫기